더케이뷰티사이언스 지금 글로벌 화장품기업은 무엇을 연구할까?
화장품소재전문연구기업협의회, 피부기반기술개발사업단 공동 주최
‘글로벌 화장품 선도기업 연구개발 동향조사 발표회’
화장품소재전문연구기업협의회(회장 박진오)와
피부기반기술개발사업단(단장 황재성)이 공동 주최한
‘글로벌 화장품 선도기업 연구개발 동향조사 발표회’가
지난 2월 7일 서울 양재동 소재 aT센터에서 열렸습니다.
양 기관은 2023년 11월 K-뷰티산업의 발전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MOU를 체결한 바 있습니다.
황재성 단장은 “수출유망산업으로 위상을 강화해가고 있는
K-뷰티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선도기업의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발표회를 통해 소재산업과 제조업계가 힘을 모아 K-뷰티의 글로벌 진출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정보와 인사이트(insight)를 얻어가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이날 설명회에서 발표된 주제와 발표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로레알 R&D 동향(박준성 충북대학교 교수)
△바이어스도르프 R&D 동향(빈범호 아주대학교 교수)
△P&G R&D 동향(이설훈 동덕여자대학교 교수)
△KAO R&D 동향(이종성 성균관대학교 교수)
△시세이도 R&D 동향(이준배 코스맥스 상무)
△유니레버 R&D 동향(이창석 을지대학교 교수)
△뷰티테크 개발동향(남진 아모레퍼시픽 뷰티테크랩장)
△글로벌 화장품기업 특허출원 동향(김보열 브릭특허법률사무소 변리사)
|
|
|
한편, 이날 발표회에 앞서 화장품소재전문연구기업협의회(회장 박진오)는 제2회 정기총회를 개최했습니다. 박진오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국내외적으로 화장품 안전성 이슈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며 “화장품 안전의 첫 단계인 소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부는 물론 학계와도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해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소재협의회는 올해 자체 학술대회 개최를 위한 준비에 착수하는 한편 각종 국내외 행사 등에 협의회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방안 등을 모색할 예정입니다. 또 안전과 신뢰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국내 소재업계의 불합리한 관행과 편법을 타파할 수 있는 자율규약 제정을 위한 논의도 본격화 할 계획입니다. 특히 국내 소재산업의 질적•양적 발전과 점차 강화되고 있는 글로벌 안전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연구과제 설정 및 로드맵 구축을 위한 활동에 착수할 방침입니다.
|
|
|
‘Newsletter in Newsletter’ |
|
|
(네이버 '화장품과학'(유료) 등 일부 콘텐츠는 제외되어 있습니다) |
|
|
"QR코드를 스캔하면 더 많은 콘텐츠가 열린다!"
잡지 속 QR코드를 스캔하면,
인쇄된 잡지와 똑같이 편집된 디지털 버전을 다운로드하거나 온라인으로 바로 볼 수 있습니다.
필요하면 프린트도 가능하죠!
동영상 콘텐츠나 특별한 광고까지
다양한 정보를 담아 더욱 풍성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단, 해당 QR코드는 잡지를 갖고 있어야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
|
|
“트렌드라는 용어는 일상적으로 쓰이지만, 일시적 유행과 트렌드는 혼란스럽게 사용된다. 트렌드라는 가변적이고 변동성이 큰 소비 현상을 이해하려면, 우선 트렌드의 작동 원리를 파악해야 한다.
이 책은 경영학, 사회학, 심리학, 문화 이론 등을 통합하면서 트렌드와 관련된 핵심 개념을 명확히 제시한다. 과잉 소비 사회에서 트렌드의 원리로 트렌드의 유형과 사람들의 심리, 트렌드세터의 역할, 트렌드의 확산과 변화 과정, 취향과 세대 그리고 역트렌드의 문제를 다룬다. 독자는 이 책을 통해 트렌드에 대한 기초 지식을 얻고, 트렌드를 파악하고 예측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트렌드의 원리』를 소개한 주창윤 서울여대 언론영상학부 교수와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
|
|
더케이뷰티사이언스 2025년 2월호 _ vol. 74 콘텐츠 |
|
|
▶COVER STORY CROP 공법‧COSMOS‧이탈리아 특허 받은 로즈힙꽃추출물 ‘ROSeout CROP®-G’
▶NEW TECH ▲앙트러리얼리티, 피부 진단부터 메이크업 시뮬레이션까지~초개인화 AI 뷰티 솔루션
▶RESEARCH ▲[INTERVIEW] 홍성관 중앙대학교 화학과 교수 “미세 플라스틱, 환경문제 넘어 피부 건강 직접 위협” ▲[INTERVIEW] 김충섭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도미와 감성돔의 장내 미생물에서 찾은 피부 주름 개선·미백 소재 ▲[INTERVIEW] 김진현 코스메카코리아 책임연구원 자연스러운 진주 빛 광채를 선사하는 ‘펄없는 펄세럼’ 개발
▶THE INTERVIEW 연경흠 한국 딜로이트 그룹 One ESG 상무 “글로벌 시장에서 ESG 실천은 더욱 중요합니다” |
|
|
▶SPECIAL ‘ ‘IFSCC 2024’ 리뷰 <2>
▲② Safety, Efficacy, Sensory & Neurosensory Evaluations _ AI 업고 진화하는 피부 노화 예측·화장품 효능 연구 _ 김지영 아모레퍼시픽R&I 센터, 스킨 3 Lab, 연구원 ▲③ Keynote / Safety, Efficacy, Sensory & Neurosensory Evaluations etc. _ 안전성과 지속가능성을 향해 또 한 걸음 _ 박병규 엑티브온, 연구소장 ▲④ Safety, Efficacy, Sensory & Neurosensory Evaluations etc. _ Biodiversity와 천연 소재 연구의 새로운 지평 _ 신동욱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교수 ▲⑤Safety, Efficacy, Sensory & Neurosensory Evaluations etc. _ 무기 자외선차단제 보완 ‘실리카 캡슐화·입자 조절 기술’ 눈길 _ 신경희 선진뷰티사이언스, 연구소장
▶SPECIAL ‘IFSCC 2024’ 대한민국 포스터 논문 <2>
▲③ 이노보테라퓨틱스 _ 신약연구 AI 플랫폼 기술 활용 다중 작용점 탈모완화 기능성화장품 소재의 임상효과 _ 이상화 이노보테라퓨틱스, 이사 ▲④ 애경산업 _ O/W/S 멀티 에멀젼의 안정성 및 피부 침투력 _ 박수완 애경산업 화장품연구소 연구원
▶FEATURE ▲대학 내 혁신창업: 새로운 도전과 기회 _ 교수·경영인·벤처케피탈이 함께하는 혁신창업 모델 필요 _ 최윤식 경성대 화장품학과, 교수 ▲[INTERVIEW] 김현나 코스맥스R&I 센터 HP랩장 “펫 뷰티시장 성장하려면 선순환 생태계 구축 필요” ▲2024 CEAC 참관기: 화장품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향한 새로운 비전 _ “규제와 지속가능성은 한 몸으로 움직인다” _ 손성민 리이치24시코리아(주), 대표 ▲K-뷰티의 힘! 그 곳을 가다 _ ⑩ ㈜바이오뷰텍 _ 꾸준히 연구하고, 논문 발표하고, 제품화하는 것이 경쟁력 / [K-INTERVIEW] 김인영 ㈜바이오뷰텍 대표 _ “지금 이 길이 다음 세대의 토양이 되기를~”
▶RUNNING STORY ▲‘K-뷰티의 맥(脈)’ ⑦ 이남호 제주대 화학·코스메틱스학과 교수·제주산학융합원장 _ 30년! 화장품으로 제주를 ‘Make up’ 하다 ▲소비자를 사로잡는 화장품 성분 노트 ② 리포솜과 엑소좀 _ 엑소좀, 나노 크기의 빈 방울로 탄생한 ‘천연 리포솜 _ 김민경 J.O.D Lab 대표 ▲신 교수의 뷰티사이언스 서재 ㉕ ‘적을수록 좋아!(The less, the better)’ 덜 씻을수록 피부는 더 건강해진다고? _ 신현재 조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GLOBAL ▲Cosmetics Regulation _ 태국, 화장품 사용 ‘이산화티타늄’ 규제 업데이트 外 _ 리이치24시코리아 ▲INNOVATION PRODUCT_2025년 1월 _ 민텔(MINTEL) ▲MEDIA REVIEW _ ‘바이오테크(Biotech)’가 새로운 트렌드를 주도한다 _ 유세진 대표(STEP.V)
▶OUR PARTNERS |
|
|
위 링크를 그냥 누르기만 하면 전체 기사 리스트와 기사를 하나씩 살펴볼 수 있어요~ |
|
|
현대 소비자들은 화장품을 선택할 때 성분표를 꼼꼼히 확인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길 만큼,
성분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트렌드 속에서 화장품 마케터와 브랜드 매니저(BM)를 비롯한 업계 종사자들은
단순히 제품을 기획하고 홍보하는 역할을 넘어,
성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갖추는 것이 필수가 되고 있습니다.
더케이뷰티사이언스는 화장품 연구원 출신의 김민경 J.O.D Lab 대표에게
주요 화장품 성분과 관련된 이야기를 요청했습니다.
매월 게재하는 이 연재는 화장품 업계 종사자들에게 필요한 성분 지식을 전달할 것입니다.
|
|
|
수출 바우처를 활용한 국내외 홍보 THE K BEAUTY SCIENCE와 상의하세요
더케이뷰티사이언스는 2020년 11월
수출기반지원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되어 대한민국 화장품산업 전반의 성공적인
해외 홍보를 이끌어오고 있습니다.
오랜시간에 걸쳐 축적한 글로벌 네트워크와
다양한 홍보 채널을 통해 실효성 있는
마케팅을 지원합니다.
수출기반지원사업문의 : 한인선 과장
T. (031)689-3070 E. an63570@thekbs.co.kr |
|
|
-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화장품 외부 포장의 기재 예외사항을 마련하고 사용금지 원료 해제 및 기준 변경 신청 절차를 도입하는 내용을 담은 화장품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2월 7일 공포했습니다.
이 가운데 사용금지 원료 해제와 사용 기준 변경 신청 절차가 신설됐습니다. 기존에는 사용이 금지된 원료를 해제하거나 사용 기준을 변경하기 위한 명확한 절차가 없었으나, 이번 개정을 통해 화장품 제조업자와 책임판매업자, 연구기관 등이 새로운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안전성을 입증하면 식약처에 변경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
|
|
-
소재기업 엑티브온 연구소가 과학·기술·의학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 출판사 엘스비어(Elsevier)에서 출간한 『분리 과학의 발전:지속가능한 공정과 기술(Advances in Separation Sciences-Sustainable Processes and Technologies)』에 공동 필자로 참여했습니다. 엑티브온 연구소는 이 책의 24장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분리공정을 위한 녹색용매 시스템(Green solvents systems for an efficient and sustainable separation processes)’의 집필을 맡았습니다. 엑티브온 연구소 Pravin P.Upare 연구원, 신형섭 연구원, 박병규 전 연구소장이 필자로 참여했습니다.
|
|
|
-
중국을 대표하는 화장품 소재 산업 전시회 PCHi(Personal Care and Homecare Ingredients)가 주최하는 ‘파운틴 어워드(Fountain Awards)’에 올해 모두 258개 소재가 출품됐습니다. PCHi 2025는 2월 19일부터 21일까지 중국 광저우의 중국수출입페어 콤플렉스(China Import and Export Fair Complex)에서 열립니다. 본상 최종 후보에는 12개 부문 51개 제품이 선정되었으며, 시상식은 전시 첫날인 오는 2월 19일 진행됩니다. PCHi의 미디어파트너인 더케이뷰티사이언스는 현지 취재를 진행합니다.
|
|
|
‘수필 쓰는 공학자’가 본
과학과 문학·미술·영화·음악
하창식 부산대학교 응용화학공학부 석학교수가 문학·미술·영화·음악 등 예술작품을 융합적 시각으로 엮은 에세이집 『공학자, 예술의 융합을 이야기하다』를 발간했습니다. 하 교수는 유-무기 소재에 관한 영문 저서와 분자과학 태동의 역사를 소개한 역서 등 과학계 전문서적뿐만 아니라, 문학·음악·종교 등 다양한 분야의 산문·수필집까지 폭넓게 발간해 온 ‘수필 쓰는 공학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
|
|
더케이뷰티사이언스가 해외 화장품 오피니언리더에게
서비스하는 SNS 영문 뉴스입니다.
※ 영문 뉴스 신청 및 문의 : office@thekbs.co.kr
|
|
|
😄👰 🙆 함께 나누세요~~~.
이 뉴스레터에 독자 여러분이나 친구, 선배, 후배, 지인의 결혼, 승진, 부음, 이전, 개업, 행사와 같은 소식을 담고 싶으면 연락주세요. 화장품·뷰티 산업계에 계신분들이 함께 공유할 만한 소식으로요~~
청첩장이나 초대장 사진을 찍어서 보내면 됩니다. 메시지만 남겨도 되고요.~~~~~~~
|
|
|
더케이뷰티사이언스(주)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대로 239, (비산동) 신안메트로칸빌딩 318호 (우 14047)
전화 031-689-3070 팩스 031-689-3071
|
|
|
|
이 뉴스레터를 지인들에게 전해 주셔요~~ 좋은 건 같이 봐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