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케이뷰티사이언스 "K-뷰티 인기는 과연 오래 갈까?"
북미에서 K-뷰티의 인기가 뜨겁습니다.
아마존에서는 지난해 대비 매출이 63.7% 증가했고,
2023년 미국 내 K-뷰티 시장 규모는 9억1760만 달러(약 1조3000억원)에 이르렀습니다.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벤처캐피털 이그나이트엑스엘 벤처스(igniteXL Ventures)는
최근 북미 소비자 656명을 포함해 글로벌 10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
이 같은 열풍의 원인을 분석했습니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북미 소비자들은 아마존과 세포라 등 이커머스를 통해 K-뷰티를 구매하고 있습니다.
특히 젊은층(Z세대)의 높은 참여가 시장 성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비자들이 K-뷰티에 충성도를 갖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제품의 뛰어난 효과와 품질이었습니다.
이그나이트엑스엘 벤처스의 클레어 장 대표는
"이번 조사는 북미 K-뷰티 시장의 장기적인 잠재력과 기회,
그리고 극복해야 할 도전 과제를 명확히 보여준다"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설문 조사 결과와 향후 북미 K-뷰티 시장의 전략적 분석은
더케이뷰티사이언스 2025년 4월호에 한국어판으로 처음 공개됩니다. |
|
|
올해 ‘뷰티 업계의 오스카상’은 누가 받을까?
제7회 코스모프로프 & 코스모팩 어워즈(Cosmoprof & Cosmopack Awards)의
최종 진출작(finalists)이 발표됐습니다.
이 상은 ‘뷰티 업계의 오스카상(Oscars of Beauty)’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한국콜마의 ECO-PULSE™ Centella 등
9개 제품(Cosmoprof Awards 6개, Cosmopack Awards 3개)이 최종 후보에 진출했습니다. 올해는 17개 카테고리에 걸쳐 800개 이상의 제품이 출품됐습니다.
올해 최종 진출작은 전시 기간 내내 전시되며,
2024년 코스모프로프 북미 라스베이거스, 아시아, 인도의 수상 제품들과 함께 소개됩니다.
최종 수상작은 온라인과 현장 평가를 통해 선정되며,
전시 중인 3월 19일(수)에는 제품 테스트 및 평가 세션이 진행됩니다.
수상작 발표는 3월 21일(금)입니다.
|
|
|
‘Newsletter in Newsletter’ |
|
|
(네이버 '화장품과학'(유료) 등 일부 콘텐츠는 제외되어 있습니다) |
|
|
“K-뷰티가 고성장한 배경에는 우리나라의 ODM 생태계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펫뷰티 시장도 글로벌까지 확장하려면 제조사, 브랜드사, ODM 등 생태계가 잘 구축되어야만 우리 모두가 성장의 기회를 잡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김현나 코스맥스R&I 센터 HP랩장 |
|
|
"QR코드를 스캔하면 더 많은 콘텐츠가 열린다!"
잡지 속 QR코드를 스캔하면,
인쇄된 잡지와 똑같이 편집된 디지털 버전을 다운로드하거나 온라인으로 바로 볼 수 있습니다.
필요하면 프린트도 가능하죠!
동영상 콘텐츠나 특별한 광고까지
다양한 정보를 담아 더욱 풍성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단, 해당 QR코드는 잡지를 갖고 있어야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
|
|
“
대학 내에서의 혁신창업은 단순한 경제적 성공을 넘어서,
학문적 성과와 사회적 기여를 결합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이를 위해 대학은 창업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연구 성과를 창업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원 체계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
특히, 학생 창업과 교수 창업을 아우르는 창업 생태계의 확립이 필요하며,
정부와 지자체가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
최윤식 경성대 화장품학과, 교수(기획조정처장) |
|
|
더케이뷰티사이언스 2025년 3월호 _ vol. 75 콘텐츠 |
|
|
▶COVER STORY 여드름 생기기 쉬운 피부를 위한 새로운 활성 복합제 ‘TEENACTINE™’
▶RESEARCH ▲[INTERVIEW] 김우중 엘리드 오송연구소 파트장 _3D 모낭 오가노이드 시험 플랫폼 ‘PAMCELL’ 개발… 모발 성장 평가 혁신 ▲[INTERVIEW] 강현미 ㈜풀코스 대표 _ 국립생물자원관서 ‘찰피나무 추출물 기술’ 이전 받아 앰플 출시
▶THE INTERVIEW 정순규 위크리드(WICREADE) 대표 _ “1등 아니면 0원 … 정부 R&D 지원사업, 공고문부터 철저하게 읽어라”
▶FEATURE ▲K-뷰티 세계를 매혹하다 ③나이지리아 _ “K-뷰티, 아프리카 대륙으로 시선을 돌려라” _ 졸라 J. 아토키(크리스틴)·Jola J. Atoki(Christine) ▲2025년 K-인디 웨이브에 동참하는 ‘K-레거시’ _ 안지영, 전 IBK투자증권 애널리스트·현 마스터스 리서치 대표 |
|
|
▶SPECIAL Ⅰ ‘IFSCC 2024’ 리뷰 <3>- 마지막회
▲REVIEW ⑥ Formulation, Application & Microbiome/Sustainability, New Ingredients etc. _ 효능과 안전성, 두 마리 토끼 잡는 화장품 R&D _ 유지수 ㈜코스메카코리아, 책임연구원 [QR Code Contents]
▲REVIEW ⑦ Keynote/Formulation, Application & Microbiome _ 현대 산업의 새로운 기준 ‘지속가능성’_ 박영아 ㈜에이치엔에이파마켐, 수석연구원 [QR Code Contents]
▲REVIEW ⑧ Formulation, Application & Microbiome _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로 더욱 진화하는 맞춤형화장품 _ 김혜빈‧김솔 코스맥스BTI㈜, 선임연구원 [QR Code Contents]
▲REVIEW ⑨ Safety, Efficacy, Sensory & Neurosensory etc. _ 효능·지속가능성·복합성 모두 갖춘 소재 개발 _ 우정‧김민경 ㈜신세계인터내셔날 기술혁신센터, 책임연구원 [QR Code Contents]
▶SPECIAL Ⅰ ‘IFSCC 2024’ 대한민국 포스터 논문 <3>
▲⑤ LG생활건강 _ 글로벌 유전자 지도로 해석한 피부 노화 예방의 새로운 패러다임 _ 구기남 LG생활건강 R&I.유전자연구팀, 선임연구원
▲⑥ 신세계인터내셔날 _ 스위스 샤토 드 뷔이렁 성(Château de Vullierens)의 아이리스, 피부의 시간을 되돌리다: 자연이 선사하는 아름다움과 지속가능성 _ 박채린‧김민경‧김영석‧김준오 신세계인터내셔날, 기술혁신센터 효능개발팀
▶SPECIAL Ⅱ ‘2025 코스메위크 도쿄’
① ▲개황 _ ‘일본 첫 진출’ 신제품과 트렌드 한 눈에 … 56개국서 방문 ▲일본 민·관, K-뷰티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② ▲[INTERVIEW] 세이지 미하라(三原 誠史) 소피아링크스(sophialinks) 대표 _ “K-뷰티 글로벌 경쟁력 강화는 ‘피부과학 기반 기초연구’에 달렸다”
③ ▲‘2025 코스메위크 도쿄’ 주요 세미나 _ 세미나장은 ‘늘’ 만석 … 공부하는 일본 ‘실감’ [QR Code Contents] ④ ▲‘2025 코스메위크 도쿄’에서 만난 K-뷰티 _ 엑소좀부터 친환경 패키징까지… 일본에서 빛난 ‘K-뷰티’ [QR Code Contents] ▲코스맥스가 선사한 ‘아름다움의 과학’ [QR Code Contents] ⑤ ▲‘2025 코스메위크 도쿄’에서 만난 일본 화장품 [QR Code Contents] ▲신진 브랜드를 위한 특별존 ‘퍼스트 갤러리(First Gallery)’ 첫 선 [QR Code Contents]
▶RUNNING STORY ▲‘아시아의 美’를 찾는 사람들 _ ⑦『디지털 심미안』 저자, 김애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_ 디지털 매개로 끊임없이 변주하는 아름다움 ▲‘K-뷰티의 맥(脈)’ ⑧ 안봉전 전 대구한의대학교 교수 _ ‘최초’가 자연스러운 한방화장품학의 주역 ▲신 교수의 뷰티사이언스 서재 ㉖ 노화를 막는 스위치 ‘엠토르(mTOR)’ _ ‘단순히 오래 사는 삶’ 보다 ‘오래도록 건강한 삶’ _ 신현재 조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소비자를 사로잡는 화장품 성분 노트 ③ 스피큘(spicule) _ “스피큘은 피부에서 녹거나 흡수되지 않는 성분이에요” _ 김민경 J.O.D Lab 대표
▶GLOBAL ▲REPORT - SPATE X 더케이뷰티사이언스 _ SPATE가 예측한 ‘2025년 미국 뷰티시장 트렌드’ _ 바디케어·향수 경계 허물어진다 … 루틴은 단순하게, 효과는 극대화 ▲Cosmetics Regulation _ 미국, 향수 알레르기 유발 물질 규칙 제정 연기 外 _ 리이치24시코리아 ▲INNOVATION PRODUCT_2025년 2월 _ 민텔(MINTEL) ▲MEDIA REVIEW _ 잠 잘자는게 최상의 스킨케어 … ‘슬립 맥싱’이 뜬다 _ 유세진 대표(STEP.V) [QR Code Contents]
▶OUR PARTNERS |
|
|
위 링크를 그냥 누르기만 하면 전체 기사 리스트와 기사를 하나씩 살펴볼 수 있어요~ |
|
|
2025년 뷰티 산업에서 첨단 기술을 활용한 뷰티테크가 급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에 이견이 없다.
정보를 분석하고 특정 목표에 따른 결과 도출에 최적화된 AI 기술의 영향력이
뷰티 산업에서 무한대로 확장될 것이라는 전망은 더욱 그러하다.
그리고 이는 맞춤형, 초개인화, 새로운 체험 가치 제공으로 이어지는
최근의 뷰티 트렌드와 맞닿아 있다.
K-뷰티에서도 이 같은 흐름이 도도한 가운데
㈜앙트러리얼리티(EntreReality, 대표 이동윤)에서 출시한 ‘트위닛(Twinit)’이 그 선두에 있다. |
|
|
수출 바우처를 활용한 국내 및 해외 홍보, 마케팅 THE K BEAUTY SCIENCE와 상의하세요
더케이뷰티사이언스는 2020년 11월
수출기반지원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되어 대한민국 화장품산업 전반의 성공적인
해외 홍보를 이끌어오고 있습니다.
오랜시간에 걸쳐 축적한 글로벌 네트워크와
다양한 홍보 채널을 통해 실효성 있는
마케팅을 지원합니다.
수출기반지원사업문의 : 한인선 과장
T. (031)689-3070 E. an63570@thekbs.co.kr |
|
|
-
올해 인-코스메틱스 글로벌(in-cosmetics Global)이 ‘지속가능성 존(Sustainability Zone)’의 세부 프로그램을 공개했습니다. 이 곳은 △포럼(Forum) △전시관(Display) △강연관(Theatre) △파빌리온(Pavilion) 등 네 가지 핵심 공간으로 구성되며, AAK, The Carbon Trust, Provital, ICCS(International Collaboration on Cosmetics Safety), Givaudan, NATRUE, Syensqo, Carbonwave 등이 참여해 다양한 인터랙티브 세션과 전시, 쇼케이스 및 전문가 발표를 진행합니다. 인-코스메틱스 글로벌은 오는 4월 8~10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RAI에서 열립니다.
|
|
|
-
정밀 헬스케어 바이오기업 ㈜우당네트웍(대표 임동영)이 AI 기술과 피부과학을 접목한 맞춤형 피부관리 플랫폼 ‘해듭(Haedeup)’을 출시했습니다. ‘해듭’은 피부과 전문의, 의학박사, AI 전문가, 생명과학자가 협력해 개발한 플랫폼으로,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정밀 분석해 최적의 스킨케어 루틴을 제안합니다. 단순한 제품 추천을 넘어 피부 건강을 위한 종합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
|
|
-
계면활성제 없이도 강력한 세정력을 제공하면서 피부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이 나왔습니다. 기존 천연 유화제나 전해수, 오일 기반 클렌징(Cleansing) 방식보다 차별화된 혁신성을 갖춘 기술로 평가됩니다. 단순한 '친환경 대체제'가 아니라 새로운 클렌징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는 기술로 보여집니다. 일본 폴라 케미컬 인더스트리즈(POLA Chemical Industries)가 초미세기포(Ultra-Fine-Bubbles, UFB)를 활용한 화장품 개발에 성공한 것입니다. 이 연구는 2024년 IFSCC에서 ‘Top 10 포스터’로 선정됐습니다.
|
|
|
“요즘 화장품은 예전 화장품에 비해 상향 평준화가 되었다.”
최근 화장품에 대한 많은 사람들의 평가입니다. 그만큼 요즘 화장품은 정말 좋아졌습니다. 예전에 비해 안전한 성분을 사용하고, 다양하고 좋은 사용감의 화장품들이 나오고 있으며, 효능도 예전보다 훨씬 더 좋아졌지요. 이렇게 좋은 화장품들 사이에서 더욱 특별해 보이기 위해서, 그리고 효과가 좋은 화장품들보다 더 좋은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화장품에 들어가는 효능성분들도 많이 발전을 하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리포솜 성분입니다.
리포솜, 이미 많은 화장품에 적용되고 있는 기술인데요. 뭔가 엄청난 기술력이 접목된 정말 좋은 성분인 것처럼 느껴지긴 했지만 정확하게 어떤 의미인지 와닿지 않으셨다면 오늘의 칼럼 꼭 정독해보시길 바랍니다. 조금 어려울 수 있지만, 최대한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
|
|
더케이뷰티사이언스가 해외 화장품 오피니언리더에게
서비스하는 SNS 영문 뉴스입니다.
※ 영문 뉴스 신청 및 문의 : office@thekbs.co.kr
|
|
|
😄👰 🙆 함께 나누세요~~~.
이 뉴스레터에 독자 여러분이나 친구, 선배, 후배, 지인의 결혼, 승진, 부음, 이전, 개업, 행사와 같은 소식을 담고 싶으면 연락주세요. 화장품·뷰티 산업계에 계신분들이 함께 공유할 만한 소식으로요~~
청첩장이나 초대장 사진을 찍어서 보내면 됩니다. 메시지만 남겨도 되고요.~~~~~~~
|
|
|
더케이뷰티사이언스(주)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대로 239, (비산동) 신안메트로칸빌딩 318호 (우 14047)
전화 031-689-3070 팩스 031-689-3071
|
|
|
|
이 뉴스레터를 지인들에게 전해 주셔요~~ 좋은 건 같이 봐요~ |
|
|
|